테마주3 주도주, 테마주 고르기 -주린이 공부 좋은 주식을 고르려면 주도주와 테마주를 고르자! 주도주 주도주란 '주식시장을 이끌어가는 주된 업종 또는 종목 군'을 말한다. 상대적으로 기업실적이 크게 호전되는 업종이 주도주로 등장하는 경향이 있으며 강세시장일 때는 주도주가 뚜렷하게 부각되는 반면 약세시장일 때는 주도주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주도주는 그 수명이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2~3년 이어지며 대체로 경기 사이클과 같은 사이클을 그리는 것이 특징이다. 쉽게 말해서 주도주가 오르면 지수와 시장 분위기가 올라가고, 주도주가 떨어지면 시장 분위기가 식어간다. 대세 상승기에서는 주도주를 쉽게 알 수 있지만, 약세장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장기투자자라면 아무래도 시장 분위기에 따라 급변하는 주도주보다는 우량주 위주로 매수하는 것을 .. 2024. 1. 9. 주린이도 할 수 있다! 분산투자 주린이라고 분산투자 못하랴! 분산투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왜 분산투자를 해야 할까?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 증권시장에는 크게 두 가지 위험이 있다. 하나는 1997년 IMF 구제금융 시기나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 때처럼 시장 전체가 하락할 위험이고, 다른 하나는 시장과 관계없이 개별 종목이 하락할 위험이다. 전자를 체계적 위험이라 하고, 후자를 비체계적 위험이라고 한다. 체계적 위험은 투자 시기를 분산함으로써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적립식 펀드처럼 장기간에 걸쳐 주식을 나누어 사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그만큼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비체계적 위험인 개별종목의 위험은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 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분산투자는 자금의 규모와 투자목적을.. 2024. 1. 3. ETF란? -주린이 공부 ETF란 무엇인가? Exchange Traded Fund의 약자로 '상장지수펀드'라고 한다. 기초지수의 성과를 추적하는 인덱스펀드(*)로서 거래소에 상장된 개별주식과 마찬가지로 기존의 주식계좌를 통해서 거래할 수 있는 투자상품을 말한다. *인덱스펀드 : 주가 지표의 변동과 동일한 투자 성과의 실현을 목표로 구성된 포트폴리오. 예를 들어 나스닥 10이라고 한다면 나스닥에서 우량종목 10개를 모아놓았다는 것이고 국내 ETF로는 'KODEX 200'이 있는데 이 'KODEX 200'은 코스피 200 지수와 유사하게 운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KODEX 200의 대표적인 구성 종목으로는 우리나라 대표 주식 종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네이버 등이 있는데 KODEX 200에 투자를 하게 되면 삼성전자, SK하.. 2023. 3. 2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