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통장4

MMF통장이란? -주린이 공부 지난 글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CMA통장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RP형, MMF형, MMW형, 발행어음 중에서 오늘은 MMF 통장에 대해서 알아보자! MMF통장이란? MMA는 Money Market Fund를 줄인 약자이며 투자신탁회사가 고객의 돈을 모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초단기금융상품이다. CMA 통장의 한 종류이며 펀드상품이다. MMF 통장의 금리가 CMA 종류들 중에서 대체로 금리가 높은 편이다. 예치된 금액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낸 후 그 수익을 타자자에게 나누어 주는 시스템을 이야기한다. 시중 은행의 예금금리가 너무 낮기 때문에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으며 주식에 직접적으로 투자하기 싫은 사람들 또한 이용하는 상품으로 알려져 있다. MMF통장의 경우 하루만 예치를 해도.. 2024. 1. 14.
파킹통장이란? -주린이 공부 파킹통장이란 무엇인가? 파킹통장은 주차를 의미하는 'Parking'과 통장을 합한 용어로 수시입출금식 예금을 의미한다. 즉 차를 잠시 주차하듯 언제든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통장을 의미한다. 통장에 자금이 고정되어 있다면 일반 수시 입출금 통장보다 높은 금리를 지급한다. 쉽게 말해 운행을 멈추고 잠시 차를 세워놓는 파킹(Parking)처럼 주차하듯이 목돈을 은행에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쓰는 것을 말하며 파킹통장은 대표적으로는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이 있다. 일반적인 은행의 수시 입출금 통장이 연 0.1~0.2% 수준의 이자를 지급한다면 파킹통장은 일정 금액 이상이 통장에 예치되어 있으면 연 1%가 넘는 금리를 지급한다. 또 정기예금, 적금과는 다르게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다는 차이점이 .. 2024. 1. 9.
마이너스 통장이란? -주린이 공부 급전이 필요하거나 항상 돈이 너무 부족하다면? 대출과 비슷한 마이너스 통장이 있다. 마이너스 통장에 대해 알아보자. 마이너스 통장이란 무엇인가? 금융 기관이 정한 한도 금액 내에서 일정액을 수시로 빌려 쓸 수 있는 대출 통장이다. 담보 없이 받을 수 있는 한도 대출의 일종이다. 신용 대출과는 다르게 수시 입출금이 가능하며, 통장 잔고가 0원일지라도 인출이 가능하다. 이런 특징 때문에 급하게 필요한 돈을 뺀 뒤, 일반적으로 통장을 '플러스(+)'상태로 유지하면 대출 이자부담을 발생시키지 않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중도 상환 수수료가 없기 때문에 이를 이용한 급한 용돈을 빌리는 것도 가능하다. 빠르게 대출금을 필요로 할 때, 마이너스 통장은 매우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다. 신용점수에 크게 문제가 .. 2023. 3. 27.
CMA 통장이란? -주린이 공부 CMA 통장이란? CMA(Cash Management Account) -자산관리계좌 본래 어음 관리 계좌로 부르는 실적배당형 상품과 자유 입출금식 보통예금 계좌를 접목한 것으로 종금사만이 판매할 수 있는 상품으로 국공채나 기업어음(CP)에 투자해 올린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돌려주는 상품이다. 증권사나 종합금융회사에서 운영하는 상품인데 주식이나 공모주 투자하기 전에 예수금을 두는 통장으로 활용하기 편하므로 대부분 증권사에서 나온 통장을 많이 사용한다. 우리가 CMA 통장에 돈을 넣어두면 증권사 등에서 자동으로 국공채(*)나 기업어음(*)(CP) 등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여기서 나오는 수익을 우리는 이자로 돌려받는 상품이다. 파킹통장과 마찬가지로 하루만 넣어도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수시입출금이 가능하다는 점.. 2023.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