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MA4

MMF통장이란? -주린이 공부 지난 글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CMA통장은 크게 4가지로 분류된다. RP형, MMF형, MMW형, 발행어음 중에서 오늘은 MMF 통장에 대해서 알아보자! MMF통장이란? MMA는 Money Market Fund를 줄인 약자이며 투자신탁회사가 고객의 돈을 모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얻는 초단기금융상품이다. CMA 통장의 한 종류이며 펀드상품이다. MMF 통장의 금리가 CMA 종류들 중에서 대체로 금리가 높은 편이다. 예치된 금액을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여 수익을 낸 후 그 수익을 타자자에게 나누어 주는 시스템을 이야기한다. 시중 은행의 예금금리가 너무 낮기 때문에 이용하는 사람들도 많으며 주식에 직접적으로 투자하기 싫은 사람들 또한 이용하는 상품으로 알려져 있다. MMF통장의 경우 하루만 예치를 해도.. 2024. 1. 14.
파킹통장이란? -주린이 공부 파킹통장이란 무엇인가? 파킹통장은 주차를 의미하는 'Parking'과 통장을 합한 용어로 수시입출금식 예금을 의미한다. 즉 차를 잠시 주차하듯 언제든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통장을 의미한다. 통장에 자금이 고정되어 있다면 일반 수시 입출금 통장보다 높은 금리를 지급한다. 쉽게 말해 운행을 멈추고 잠시 차를 세워놓는 파킹(Parking)처럼 주차하듯이 목돈을 은행에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쓰는 것을 말하며 파킹통장은 대표적으로는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이 있다. 일반적인 은행의 수시 입출금 통장이 연 0.1~0.2% 수준의 이자를 지급한다면 파킹통장은 일정 금액 이상이 통장에 예치되어 있으면 연 1%가 넘는 금리를 지급한다. 또 정기예금, 적금과는 다르게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다는 차이점이 .. 2024. 1. 9.
주린이도 할 수 있다! 분산투자 주린이라고 분산투자 못하랴! 분산투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왜 분산투자를 해야 할까?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 증권시장에는 크게 두 가지 위험이 있다. 하나는 1997년 IMF 구제금융 시기나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 때처럼 시장 전체가 하락할 위험이고, 다른 하나는 시장과 관계없이 개별 종목이 하락할 위험이다. 전자를 체계적 위험이라 하고, 후자를 비체계적 위험이라고 한다. 체계적 위험은 투자 시기를 분산함으로써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적립식 펀드처럼 장기간에 걸쳐 주식을 나누어 사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그만큼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비체계적 위험인 개별종목의 위험은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 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분산투자는 자금의 규모와 투자목적을.. 2024. 1. 3.
CMA 통장이란? -주린이 공부 CMA 통장이란? CMA(Cash Management Account) -자산관리계좌 본래 어음 관리 계좌로 부르는 실적배당형 상품과 자유 입출금식 보통예금 계좌를 접목한 것으로 종금사만이 판매할 수 있는 상품으로 국공채나 기업어음(CP)에 투자해 올린 수익을 투자자들에게 돌려주는 상품이다. 증권사나 종합금융회사에서 운영하는 상품인데 주식이나 공모주 투자하기 전에 예수금을 두는 통장으로 활용하기 편하므로 대부분 증권사에서 나온 통장을 많이 사용한다. 우리가 CMA 통장에 돈을 넣어두면 증권사 등에서 자동으로 국공채(*)나 기업어음(*)(CP) 등 단기금융상품에 투자하고 여기서 나오는 수익을 우리는 이자로 돌려받는 상품이다. 파킹통장과 마찬가지로 하루만 넣어도 이자를 받을 수 있고 수시입출금이 가능하다는 점.. 2023. 3.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