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R 지수(가구소득대비주택가격비율)
PIR : Price to Income Ratio의 약자.
일반적으로 연평균 소득을 반영한 특정 지역 또는 국가 평균 수준의 주택을 구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주택 구매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집값 상승이나 하락세를 예측할 때 소득 수준의 변화를 함께 고려하기 위해 고안된 지표로 주택 가격을 가구 소득으로 나눈 수치를 뜻한다.
(PIR지수 = 주택 가격 / 연 가구 소득)
가구 소득 대비 주택 가격의 비율이 적정한지를 나타낼 때 사용하기 때문에 부동산 투자 지표로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 주택 가격이 가구의 연간 소득의 몇 배나 되는지를 의미. PIR 수치가 낮을수록 주택 실수요자의 주택 구매 여력이 높고 내 집 마련 기간은 짧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대로 PIR 지수가 높아진다는 것은 집 값이 소득에 비해 비싸지고 있다는 의미.
ex) PIR이 10이라면 버는 소득을 하나도 쓰지 않고 꼬박 10년 동안 모으면 집 한 채를 살 수 있다는 뜻.
PIR 지수 보는 사이트
주택금융통계시스템(Houstat)
주택금융통계
통계, 간편통계, 복수통계, 변동비교통계, 사칙연산통계
houstat.hf.go.kr
메뉴 상단에 [통계 DB] 탭 → [PIR] 키워드 검색 → [지역별 PIR 및 LIR] 항목 클릭
보고 싶은 지역을 특별시, 광역시, 도 단위로 선택하고 최근 5개월 단위로 데이터를 볼 수 있는데 수정 가능하다. 차트 역시 다양한 형태의 차트를 선택해서 볼 수 있다.
화면 하단에 있는 '시 단위> 서울> PIR' 같은 라벨을 클릭하면 해당 항목을 차트에서 제외할 수 있다. 이렇게 제외하면서 지역 간 PIR 지수의 변동을 비교해 볼 수 있다.
KB부동산 데이터허브
KB부동산 데이터허브
We're sorry but KB부동산 데이터허브 doesn't work properly without JavaScript enabled. Please enable it to continue. CCVersion:1699430696539 [안내드립니다] 현재 KB부동산 데이터허브는 익스플로러에서 이용하실 수 없습니
data.kbland.kr
[KB 통계] → [소득연계] → [PIR]항목 선택
전국과 서울특별시 지역의 주택 분위와 소득 분위 조합별 PIR 지수가 월단위로 집계되어 나온다. 주택 분위와 소득 분위의 조합이란 특정 소득 분위에 해당하는 가구가 특정 주택 분위의 집을 사기 위해 걸리는 기간을 의미.
예를 들어 소득 분위 1분위와 주택분위 5분위의 조합이라면 소득 분위가 1분위(하위 20%)에 해당하는 가구가 주택 분위 5 분위(상위 20%)에 해당하는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당연히 소득 분위의 숫자가 클수록 주택 분위의 숫자가 작을수록 PIR은 작아집니다.
'재테크 관련 (주식,지원금,부동산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시가격이란? (0) | 2023.11.23 |
---|---|
토지거래허가제란? (0) | 2023.11.22 |
무순위청약(줍줍)이란? (0) | 2023.11.21 |
주린이도 배당투자 할수있다! -주린이 공부 (0) | 2023.07.31 |
경기도에서 배우고 즐기자! 2023 해양 레저 스포츠 교육 프로그램 안내 (1) | 2023.07.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