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65

외국인/기관 투자 따라하기 1-주린이 공부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주식 보유 비중이 시가총액 기준으로 30% 이상에 이르고, 외국인 매매가 시장에 미치는 여향이 커지면서 외국인 매매동향을 참고하는 것이 필수사항이 되었다. 외국인의 종목선정기준은 무엇이며 외국인의 매매동향을 살펴보자. 외국인이란? 우리가 흔히 말하는 외국인에는 외국계 투자은행과 같은 기관투자가와 뮤추얼 펀드(*), 연기금(*), 헤지펀드, 개인투자자 등 여러 종류가 있다. 그리고 우리나라에 투자하는 외국계 큰손은 세계적인 자산운용사인 캐피털그룹, 피델리티, 템플턴, JP에셋, 푸르덴셜, 도이치 자산운용 등이 있다. 연기금은 보통 10년 이상 장기투자를 하고, 뮤추얼 펀드나 기관투자가들은 짧게는 5년, 길게는 10년 이상 장기투자를 한다. 반면 해지펀드나 개인투자자 중에서는 투기성이 강.. 2024. 1. 10.
파킹통장이란? -주린이 공부 파킹통장이란 무엇인가? 파킹통장은 주차를 의미하는 'Parking'과 통장을 합한 용어로 수시입출금식 예금을 의미한다. 즉 차를 잠시 주차하듯 언제든 돈을 넣고 뺄 수 있는 통장을 의미한다. 통장에 자금이 고정되어 있다면 일반 수시 입출금 통장보다 높은 금리를 지급한다. 쉽게 말해 운행을 멈추고 잠시 차를 세워놓는 파킹(Parking)처럼 주차하듯이 목돈을 은행에 잠시 보관하는 용도로 쓰는 것을 말하며 파킹통장은 대표적으로는 토스뱅크,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등이 있다. 일반적인 은행의 수시 입출금 통장이 연 0.1~0.2% 수준의 이자를 지급한다면 파킹통장은 일정 금액 이상이 통장에 예치되어 있으면 연 1%가 넘는 금리를 지급한다. 또 정기예금, 적금과는 다르게 수시로 돈을 넣고 뺄 수 있다는 차이점이 .. 2024. 1. 9.
스팩주(SPAC주식)란? -주린이 공부 스팩(SPAC)이란? SPAC(Special Purpose Acquisition Company) 즉, 기업인수목적회사이다. 기업의 인수와 합병을 유일한 목적으로 설립하는 명목상의 회사. 비상장기업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페이퍼컴퍼니(Paper company). 공모로 액면가에 신주를 발행해 다수의 개인 투자자금을 모은 후 상장한 다음 3년 이내에 비상장 우량기업을 합병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보자면 스팩은 기관투자자들로부터 초기 출자금을 받아 설립되고, 그 이후 상장을 위한 신주 공모를 진행한다. 새로운 투자자들로부터 대금을 신주에 대한 자금을 받은 말부터 3년 이내에 괜찮은 비상장기업을 찾아 합병을 완료하지 못하면, 스팩은 자동으로 청산되고 상장 폐지가 된다. 절차가 우회상장(*)이랑 비슷해 보이지만,.. 2024. 1. 9.
특례보금자리론 금리와 중도상환수수료, 신청방법 총정리 내 집 마련을 하기 위해서 필수라고 하면 필수인 주택 관련 대출 상품에 대해서도 요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주택 관련 대출 상품 중에서 금융위원회 보도 자료를 통해 새롭게 출시된 주택 대출제도인 특례보금자리론에 대해서 알아보자. 특례보금자리론이란 무엇인가? '23.1.30(월)부터 주택 자금대출 시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보금자리론에 일반형 안심전환대출, 적격대출을 통합한 특례보금자리론을 1년간 한시적으로 운영된다. 신규 구매 용도 이외에도 대환(고금리 -> 저금리 대출 전환), 보전용(임차보증금을 돌려주기 위한 대출)으로도 가능하다. 주택 구입 용도, 전세 자금반환용도 및 특히 주택담보로 은행권에서 빌린 기존 상품에서 더 좋은 조건으로 갈아타기를 원하는 이용자에게 적합하다. 실제로도 신청자의.. 2024. 1. 9.
주도주, 테마주 고르기 -주린이 공부 좋은 주식을 고르려면 주도주와 테마주를 고르자! 주도주 주도주란 '주식시장을 이끌어가는 주된 업종 또는 종목 군'을 말한다. 상대적으로 기업실적이 크게 호전되는 업종이 주도주로 등장하는 경향이 있으며 강세시장일 때는 주도주가 뚜렷하게 부각되는 반면 약세시장일 때는 주도주가 잘 나타나지 않는다. 주도주는 그 수명이 짧게는 몇 개월 길게는 2~3년 이어지며 대체로 경기 사이클과 같은 사이클을 그리는 것이 특징이다. 쉽게 말해서 주도주가 오르면 지수와 시장 분위기가 올라가고, 주도주가 떨어지면 시장 분위기가 식어간다. 대세 상승기에서는 주도주를 쉽게 알 수 있지만, 약세장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장기투자자라면 아무래도 시장 분위기에 따라 급변하는 주도주보다는 우량주 위주로 매수하는 것을 .. 2024. 1. 9.
주린이도 할 수 있다! 분산투자 주린이라고 분산투자 못하랴! 분산투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왜 분산투자를 해야 할까?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 분산투자를 해야 한다! 증권시장에는 크게 두 가지 위험이 있다. 하나는 1997년 IMF 구제금융 시기나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 때처럼 시장 전체가 하락할 위험이고, 다른 하나는 시장과 관계없이 개별 종목이 하락할 위험이다. 전자를 체계적 위험이라 하고, 후자를 비체계적 위험이라고 한다. 체계적 위험은 투자 시기를 분산함으로써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적립식 펀드처럼 장기간에 걸쳐 주식을 나누어 사면 평균 매입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어 그만큼 위험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반면에 비체계적 위험인 개별종목의 위험은 여러 종목에 분산투자 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분산투자는 자금의 규모와 투자목적을.. 2024.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