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기관투자가의 투자형태는 외국인과 차이점이 있을까?
국내 기관투자가는 자산운용사, 증권사, 은행, 보험사 같은 금융기관과 연기금으로 크게 구분된다.
연기금 중에서는 국민연금이 자산 규모와 투자 규모에서 가장 크고, 그 외 정보통신부 기금,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군인연금 등이 큰 규모에 속한다.
우리나라 기관투자가의 주식 보유비중은 시가총액 대미 16%에 머물러 있어 미국(49%), 영국(56%), 일본(31%) 등 선진국들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외국인은 선물, 옵션 같은 파생상품을 이용하거나 주식 공매도를 활용하여 공격적으로 매매하기 때문에 주가 변동폭을 키우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정부는 외국인 매매가 주식시장의 불안요인이 되지 않을 수준으로 기관의 비중을 좀 더 높일 필요가 있어 보인다.
국내 기관투자가의 종목선정 방법은 외국인과 별 차이 없다.
국내 기관투자가의 종목선정 방법도 원칙에 있어서는 외국인과 별 차이가 없다.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주식형 펀드의 투자원칙을 보면 외국인의 종목선정 원칙과 유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국내 기관투자가도 외국인과 같은 방법으로 투자를 하면 높은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단지 차이가 있다면 외국인은 5년 이상 장기투자 관점에서 투자를 하는 데 반하여 국내 기관 투자가는 몇 주 또는 길어야 1년 이내 수익을 거둘 목적으로 종목을 선정한다.
이처럼 투자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자연히 선정하는 종목이 같을 수 없다.
외국인 및 기관 매매는 어떻게 참고하나?
외국인 및 기관의 매매동향은 HTS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현재가 창에서 실시간으로 외국인의 매매동향을 알 수 있으며, 외국인 매매추이는 투자자별 매매추이를 확인해 보면 알 수 있다.
또한 외국인의 종목 분석으로 들어가면 '외국인의 연속 보유증가 종목'을 볼 수 있어 최근 외국인이 집중 매수하고 있는 종목이 무엇인지 체크해 볼 수 있다.
아니면 네이버에서 증권-국내증시-투자자별 매매동향을 살펴봐도 좋다.
위 사진은 네이버 증권에서 살펴본 외국인 순매매 상위 종목들이다.
당일 거래량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종목을 2일 치를 표시하였다.
(이틀연속 현대차, LG전자가 상위권에 속에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네이버 증권에서 기관 순매매 상위 종목들도 살펴 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당일 거래량을 기준으로 순서대로 종목을 2일 치 표시하였다.
(이틀연속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상위권에 속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외국인/기관 투자 따라하기 1도 다시한번 공부해보자!
외국인/기관 투자 따라하기 1-주린이 공부
주식시장에서 외국인 주식 보유 비중이 시가총액 기준으로 30% 이상에 이르고, 외국인 매매가 시장에 미치는 여향이 커지면서 외국인 매매동향을 참고하는 것이 필수사항이 되었다. 외국인의 종
ong-rami.tistory.com
'재테크 관련 (주식,지원금,부동산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란? -주린이 공부 (0) | 2023.03.23 |
---|---|
CMA 통장이란? -주린이 공부 (0) | 2023.03.23 |
매매법에서 필요한 5가지-주린이 공부 (0) | 2023.03.22 |
경기 변동과 주가는 동행한다-주린이 공부 (0) | 2023.03.20 |
공모주 청약이란? (0) | 2023.01.29 |
댓글